- 산사의 풍경소리 -
靑野/정의영
지고온
삶의 무게
이곳에 내려놓고
세속의
찌든 가슴
살며시 여 젖히면
계곡 타고
내리는 물소리는
만 소음 씻어주고
조용히
머리 숙여
눈감고 묵상 할 제
산새를
돌아 나는
청풍의 다독임에
추녀 끝
풍경소리
마음을 비워주네.
풍경(風磬)
법당이나 불탑의 처마 또는 옥개 부분에 매달아 소리를 나게 하는 장엄구. 불구(佛具)의 하나로 ‘풍령(風鈴) 또는 풍탁(風鐸)’이라고도 한다. 요령이 손으로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데 반하여, 풍경은 바람에 흔들려서 소리를 내는 것이 다르다.
특히, 풍경은 경세(警世)의 의미를 지닌 도구로서, 수행자의 방일이나 나태함을 깨우치는 역할을 한다. 풍경의 형태에도 그와 같은 의미가 담겨 있는데, 풍경의 방울에는 고기 모양의 얇은 금속판을 매달아두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즉, 고기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행자는 잠을 줄이고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로 인하여 우리 나라의 사찰에는 규모의 대소를 불문하고, 법당이나 불탑에는 반드시 풍경을 매달아두고 있다. 요령에서와 같이 화려하고 다양한 조각은 볼 수 없으나, 일반 범종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큰 것은 20㎝가 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10㎝ 내외의 소형이다. 이 중 신라 감은사지 출토의 청동풍경이나 백제 미륵사지 출토의 금동풍경은 특히 유명하다. 이같이 풍경에 도금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일이나 그 절의 사격(寺格)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참고문헌≫ 益山彌勒寺址發掘中間報告(金正基, 文化財管理局, 1981).(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